본문 바로가기

스윗푸딩 생활정보

2025 육아휴직 급여 계산법 총정리

반응형

 

육아휴직 급여를 받게 되면 “도대체 얼마를 받을까?”, “첫 3개월은 왜 금액이 다를까?” 하는 궁금증이 생깁니다. 육아휴직 급여 계산법은 구조만 이해하면 아주 단순하지만, 상한액·하한액 때문에 금액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어요. 이 글에서는 2024~2025 최신 기준으로 육아휴직 급여 계산법을 가장 쉽게 정리했습니다! 

 

목차 

그 전에 육아휴직 관련된 다양한 글과 공식 사이트를 확인해 보시려면 아래의 포스팅도 함께 알아보세요! :)

 

 

육아휴직 급여 계산법의 기본 구조

 

 

 

 

 

육아휴직 급여는 고용보험에서 지급합니다. 계산의 핵심은 두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! 

1. 첫 3개월

통상임금의 80% 지급

  • 상한: 300만원
  • 하한: 70만원

2. 4개월째부터 육아휴직 종료 시까지

통상임금의 50% 지급

  • 상한: 120만원
  • 하한: 70만원

육아휴직은 보통 12개월(1년)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.

 

 

육아휴직 급여 계산법 핵심 포인트 3가지

1. 육아휴직 급여는 ‘통상임금 기준’

통상임금 = 기본급 + 매달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고정수당, 상여금, 연차수당 등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 그래서 연봉이 같아도 회사에서 정한 통상임금 기준에 따라 수령액이 달라질 수 있어요.

 

2. 첫 3개월이 가장 유리한 구간

첫 3개월은 지급률이 80%로 가장 높습니다. 많은 분들이 육아휴직을 분할해서 사용하는 이유도 바로 이 첫 구간이 상대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입니다.

 

3. 마지막 3개월 금액 중 일부는 복직 후 일시불 지급

4개월째부터 지급하는 50% 중 25%는 복직 후 일시불로 지급됩니다. 예를 들어, 매달 100만원을 받는 구조라면

  • 50만원은 매달 지급
  • 25만원은 복직 후 한꺼번에 지급

이걸 모르면 ‘왜 덜 나오지?’ 하고 놀랄 수 있어요.

 

육아휴직 급여 예시

 

아래 표는 통상임금이 각각 300만원, 200만원, 100만원일 때 총 1년 동안의 육아휴직 급여 수령액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표입니다. 통상임금이 높을수록 당연히 급여도 높아지지만, 상한액 때문에 일정 금액 이상은 받지 못한다는 점이 핵심이니 한 번 살펴보세요! 

구분 통상
임금
첫 3개월 계산
(80%) 
9개월 계산 (50%)  상한/하한  첫 3개월
수령액
나머지 9개월
수령액 
1년 총 수령액
예시 1 300만원 300만 × 80% = 240만원 300만 × 50% = 150만원 상한 120만원 적용 240만원 × 3개월 = 720만원 120만원 × 9개월 = 1,080만원 1,800만원
예시 2 200만원 200만 × 80% = 160만원 200만 × 50% = 100만원 제한 없음 160만원 × 3개월 = 480만원 100만원 × 9개월 = 900만원 1,380만원
예시 3 100만원 100만 × 80% = 80만원 100만 × 50% = 50만원 하한 70만원 적용 80만원 × 3개월 = 240만원 70만원 × 9개월 = 630만원 870만원

 

육아 휴직 급여 신청 방법

  1. 육아휴직 신청서 제출(회사)
  2. 승인되면 고용보험 사이트 또는 앱 접속
  3. 육아휴직 급여 신청
  4. 통상임금 확인 서류 제출
  5. 매달 육아휴직 급여 수령

신청만 제대로 하면 매월 자동 지급됩니다! 

 

 

육아휴직 급여 계산법은 다음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요, 
'첫 3개월은 통상임금의 80%, 이후 9개월은 50%를 지급하며 상한·하한액을 적용한다' 입니다!

육아휴직 급여는 실제 통상임금 구조, 상여, 근무형태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므로 모의계산 등을 통해 미리 파악해 보시기 바랍니다 :)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