육아휴직 급여를 받게 되면 “도대체 얼마를 받을까?”, “첫 3개월은 왜 금액이 다를까?” 하는 궁금증이 생깁니다. 육아휴직 급여 계산법은 구조만 이해하면 아주 단순하지만, 상한액·하한액 때문에 금액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어요. 이 글에서는 2024~2025 최신 기준으로 육아휴직 급여 계산법을 가장 쉽게 정리했습니다!
목차
그 전에 육아휴직 관련된 다양한 글과 공식 사이트를 확인해 보시려면 아래의 포스팅도 함께 알아보세요! :)
육아휴직 급여 계산법의 기본 구조
육아휴직 급여는 고용보험에서 지급합니다. 계산의 핵심은 두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!
1. 첫 3개월
통상임금의 80% 지급
- 상한: 300만원
- 하한: 70만원
2. 4개월째부터 육아휴직 종료 시까지
통상임금의 50% 지급
- 상한: 120만원
- 하한: 70만원
육아휴직은 보통 12개월(1년)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.
육아휴직 급여 계산법 핵심 포인트 3가지
1. 육아휴직 급여는 ‘통상임금 기준’
통상임금 = 기본급 + 매달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고정수당, 상여금, 연차수당 등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 그래서 연봉이 같아도 회사에서 정한 통상임금 기준에 따라 수령액이 달라질 수 있어요.
2. 첫 3개월이 가장 유리한 구간
첫 3개월은 지급률이 80%로 가장 높습니다. 많은 분들이 육아휴직을 분할해서 사용하는 이유도 바로 이 첫 구간이 상대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입니다.
3. 마지막 3개월 금액 중 일부는 복직 후 일시불 지급
4개월째부터 지급하는 50% 중 25%는 복직 후 일시불로 지급됩니다. 예를 들어, 매달 100만원을 받는 구조라면
- 50만원은 매달 지급
- 25만원은 복직 후 한꺼번에 지급
이걸 모르면 ‘왜 덜 나오지?’ 하고 놀랄 수 있어요.



육아휴직 급여 예시
아래 표는 통상임금이 각각 300만원, 200만원, 100만원일 때 총 1년 동안의 육아휴직 급여 수령액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표입니다. 통상임금이 높을수록 당연히 급여도 높아지지만, 상한액 때문에 일정 금액 이상은 받지 못한다는 점이 핵심이니 한 번 살펴보세요!
| 구분 | 통상 임금 |
첫 3개월 계산 (80%) |
9개월 계산 (50%) | 상한/하한 | 첫 3개월 수령액 |
나머지 9개월 수령액 |
1년 총 수령액 |
| 예시 1 | 300만원 | 300만 × 80% = 240만원 | 300만 × 50% = 150만원 | 상한 120만원 적용 | 240만원 × 3개월 = 720만원 | 120만원 × 9개월 = 1,080만원 | 1,800만원 |
| 예시 2 | 200만원 | 200만 × 80% = 160만원 | 200만 × 50% = 100만원 | 제한 없음 | 160만원 × 3개월 = 480만원 | 100만원 × 9개월 = 900만원 | 1,380만원 |
| 예시 3 | 100만원 | 100만 × 80% = 80만원 | 100만 × 50% = 50만원 | 하한 70만원 적용 | 80만원 × 3개월 = 240만원 | 70만원 × 9개월 = 630만원 | 870만원 |
육아 휴직 급여 신청 방법
- 육아휴직 신청서 제출(회사)
- 승인되면 고용보험 사이트 또는 앱 접속
- 육아휴직 급여 신청
- 통상임금 확인 서류 제출
- 매달 육아휴직 급여 수령
신청만 제대로 하면 매월 자동 지급됩니다!



육아휴직 급여 계산법은 다음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요,
'첫 3개월은 통상임금의 80%, 이후 9개월은 50%를 지급하며 상한·하한액을 적용한다' 입니다!
육아휴직 급여는 실제 통상임금 구조, 상여, 근무형태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므로 모의계산 등을 통해 미리 파악해 보시기 바랍니다 :)









'스윗푸딩 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육아휴직 급여 지급일 알아보기! 언제 들어올까? (0) | 2025.11.10 |
|---|---|
| 육아휴직 기간 알바 & 부업 가능할까? (0) | 2025.11.09 |
| 육아휴직과 퇴직금 산정 방법 이해하기 쉽게! 완벽 정리 (0) | 2025.10.27 |
| 2026 연말정산 미리보기 + 절세꿀팁 알아보기 (0) | 2025.10.23 |
| 2025 육아 휴직 확인서 발급, 최신 내용 확인하기 (0) | 2025.10.20 |
| 2025 청년 몽땅 정보통 청년수당 지원혜택 바로 알아보기 (0) | 2025.10.19 |
| [청년지원] 2026 청년 안심주택 입주조건, 신청 일정 미리 알아보기 (0) | 2025.10.18 |
| 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, 뭐가 더 유리할까? (0) | 2025.10.13 |